Linux
-
*서비스구성(NFS server) p.210~ 1.패키지설정 -> nfs-utils 2.서비스구성 -> 디렉토리 준비( and 디렉토리에 대한 권한 설정), /etc/exports (공유 디렉토리, 대상설정, 옵션 입력), 서비스 설정파일 3.서비스활성화 ->nfs-server + nfs-secure-server(보안설정 추가할때 사용) or nfs-secure(nfs 서버 보안설정때 사용) 4.방화벽구성-> nfs만 오픈해주면 됨(그럼 파일공유 가능해짐) *Client 구성 nfs-utils mount -> mount(재부팅하면 리셋됨, 필요할때만 사용), /etc/fstab(부팅할때마다 마운트해줘서 편함, 부팅시 연결), autofs(자동으로 연결 설정 및 해제, 사용시 연결 =>네트워크 리소스 줄이..
5/20 NFS 실습*서비스구성(NFS server) p.210~ 1.패키지설정 -> nfs-utils 2.서비스구성 -> 디렉토리 준비( and 디렉토리에 대한 권한 설정), /etc/exports (공유 디렉토리, 대상설정, 옵션 입력), 서비스 설정파일 3.서비스활성화 ->nfs-server + nfs-secure-server(보안설정 추가할때 사용) or nfs-secure(nfs 서버 보안설정때 사용) 4.방화벽구성-> nfs만 오픈해주면 됨(그럼 파일공유 가능해짐) *Client 구성 nfs-utils mount -> mount(재부팅하면 리셋됨, 필요할때만 사용), /etc/fstab(부팅할때마다 마운트해줘서 편함, 부팅시 연결), autofs(자동으로 연결 설정 및 해제, 사용시 연결 =>네트워크 리소스 줄이..
2021.05.20 -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LY5AQ5lYYTqdjx7NmIDyLRPFmx9p3mYQ firewall-cmd --set-default-zone nmcli dev stat firewall-cmd --list-all firewall-cmd --get-default-zone firewall-cmd --change-interface add / remove firewall-cmd --add-service --add-port --add-source 1. 가상머신에 인터페이스 추가 1)그냥 추가 2) default-zone 변경후 추가 2. 인터페이스의 영역을 변경 1) change 옵션으로 2) remove /add 옵션으로 3. 접근규칙설정 1) ssh 서비스를 허용 ..
5/18 firewall, rich 규칙 실습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LY5AQ5lYYTqdjx7NmIDyLRPFmx9p3mYQ firewall-cmd --set-default-zone nmcli dev stat firewall-cmd --list-all firewall-cmd --get-default-zone firewall-cmd --change-interface add / remove firewall-cmd --add-service --add-port --add-source 1. 가상머신에 인터페이스 추가 1)그냥 추가 2) default-zone 변경후 추가 2. 인터페이스의 영역을 변경 1) change 옵션으로 2) remove /add 옵션으로 3. 접근규칙설정 1) ssh 서비스를 허용 ..
2021.05.18 -
https://drive.google.com/file/d/1lL4_zPEmZTAOaXRBjyo3yWO_iIPzLd55/view CCCR 강의내용.txt drive.google.com 8088199474 12345 *locate 명령어 : 어떤 파일들이 있다는걸 읽어와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 명령어 실행할때 그 데이터 베이스 안에서 검색. 사전에 준비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방식 -> 검색속도가 빠름, 기존에 없던 파일을 검색하는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음, 파일의 이른으로만 검색할수있다는 한계가 있음 *find 명령어: 모든 디렉토리(/ locate에 비해서 속도가 느림. 언제든지 바로 검색이 가능. 옵션을 이용해서 다양한 기준으로 검색가능(권한 시간 등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검색가능) ex) f..
5/17 find 명령어, ssh, ntphttps://drive.google.com/file/d/1lL4_zPEmZTAOaXRBjyo3yWO_iIPzLd55/view CCCR 강의내용.txt drive.google.com 8088199474 12345 *locate 명령어 : 어떤 파일들이 있다는걸 읽어와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 명령어 실행할때 그 데이터 베이스 안에서 검색. 사전에 준비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방식 -> 검색속도가 빠름, 기존에 없던 파일을 검색하는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음, 파일의 이른으로만 검색할수있다는 한계가 있음 *find 명령어: 모든 디렉토리(/ locate에 비해서 속도가 느림. 언제든지 바로 검색이 가능. 옵션을 이용해서 다양한 기준으로 검색가능(권한 시간 등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검색가능) ex) f..
2021.05.17 -
디스크 관리 파일시스템 & 스왑메모리 논리볼륨 관리 디스크 https://www.youtube.com/watch?v=7n71z7KIoXo 디스크 구매 -> 연결 -> 파티션 -> 포맷 디스크 파티션 - MBR 파티션 레이아웃을 파티션 테이블에 저장 부팅할수 있는 파티션 정보를 갖고 있다. 섹터 주소를 4byte로 저장 -> 최대 2TB 까지 저장 가능 - GPT - 파티션 테이블은 128개 까지 가능 - 64bit -> 8ZB e-ide : 핫 플러깅 x sata : 핫 플러깅 scsi : 핫 플러깅 예제 ) 1G, 2G 파티션을 생성하시오. 222 lsblk 223 poweroff 224 lsblk 225 sudo fdisk /dev/vdb 226 lsblk n-> ... ->w 227 partprob..
5/11 파티션 생성, mount 실습디스크 관리 파일시스템 & 스왑메모리 논리볼륨 관리 디스크 https://www.youtube.com/watch?v=7n71z7KIoXo 디스크 구매 -> 연결 -> 파티션 -> 포맷 디스크 파티션 - MBR 파티션 레이아웃을 파티션 테이블에 저장 부팅할수 있는 파티션 정보를 갖고 있다. 섹터 주소를 4byte로 저장 -> 최대 2TB 까지 저장 가능 - GPT - 파티션 테이블은 128개 까지 가능 - 64bit -> 8ZB e-ide : 핫 플러깅 x sata : 핫 플러깅 scsi : 핫 플러깅 예제 ) 1G, 2G 파티션을 생성하시오. 222 lsblk 223 poweroff 224 lsblk 225 sudo fdisk /dev/vdb 226 lsblk n-> ... ->w 227 partprob..
2021.05.11 -
ifconfig(안되면 ip a) ssh user@192.168.122.118 password: user 매월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10분마다 date명령어를 실행하여 datefile01에 이어쓰기 */10 13-17 * * * date >> datefile01 매년 3월 6월 9월 2번째 화요일 14시 20분에 /etc/passwd 파일의 내용을 userfile에 덮어쓰기 하시오 20 14 8-14 3,6,8 2 cat /etc/passwd > userfile at 또는 cron을 이용 1.3분 뒤에 ps -ef 명령어를 실행해서 psfile01에 저장되도록 설정 2.21년 8월 3일에 date 명령어를 실행해서 메일로 오도록 설정 3.오늘 오후 18시에 cal 명령어를 실행해서 메일로 오도록 설정 ..
5/11 스케줄링(crontab ..)ifconfig(안되면 ip a) ssh user@192.168.122.118 password: user 매월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10분마다 date명령어를 실행하여 datefile01에 이어쓰기 */10 13-17 * * * date >> datefile01 매년 3월 6월 9월 2번째 화요일 14시 20분에 /etc/passwd 파일의 내용을 userfile에 덮어쓰기 하시오 20 14 8-14 3,6,8 2 cat /etc/passwd > userfile at 또는 cron을 이용 1.3분 뒤에 ps -ef 명령어를 실행해서 psfile01에 저장되도록 설정 2.21년 8월 3일에 date 명령어를 실행해서 메일로 오도록 설정 3.오늘 오후 18시에 cal 명령어를 실행해서 메일로 오도록 설정 ..
2021.05.11 -
접근제어리스트(ACL) default ACL 설정되어 있으면 하위디렉토리가 상속받음. 접근제어리스트 적용유무확인 #ls -l /root/acl/file-name 접근제어리스트 정보 확인 getfacel file-name 접근제어리스트 설정 setfac1 [option] ENTRY:NAME:PERMS file-name 접근제어리스트 제거 setfacl -x ENTRY:NAME file-name (NAME까지만 입력하고 PERMS는 지정하지 않음) setfacl [ {-b | -k} ] file-name 접근제어리스트 재귀적사용 setfacl -Rm ENTRY:NAME:PERMS file-name 예제)file: roster.txt group:controllet user:james:---- user:1005..
5/11 접근제어리스트(ACL) 설정 관리접근제어리스트(ACL) default ACL 설정되어 있으면 하위디렉토리가 상속받음. 접근제어리스트 적용유무확인 #ls -l /root/acl/file-name 접근제어리스트 정보 확인 getfacel file-name 접근제어리스트 설정 setfac1 [option] ENTRY:NAME:PERMS file-name 접근제어리스트 제거 setfacl -x ENTRY:NAME file-name (NAME까지만 입력하고 PERMS는 지정하지 않음) setfacl [ {-b | -k} ] file-name 접근제어리스트 재귀적사용 setfacl -Rm ENTRY:NAME:PERMS file-name 예제)file: roster.txt group:controllet user:james:---- user:1005..
2021.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