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atic라우트란?
- 정적 라우팅으로 관리자가 직접 목적지로 가는 해당 경로를 전부 설정하는 것(직접 모르는 라우터에 라우터가 모르는 네트워크 설정) -> 즉 고정적이며 망에 변화가 일어나도 바뀌지 않음. 그래서 경로관리에 효율적(그치만 일일이 설정 알려줘야해서 번거로움)
- 보내는 쪽과 받는 쪽 모두 routing 설정을 해줘야 통신가능
- 지정방법 : ip route [목적지 Network Address] [목적지 네트워크의 SubnetMask] [Gateway ip(옆에 있는 인터페이스의 ip주소)]
- 게이트웨이는 다른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관문. ip 주소와 sm만 있으면 외부 네트워크로 접속할 수 있는 관문이 없어 외부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불가. 자신이 속한 로컬 네트워크에서만 통신이 가능.(pc들의 게이트웨이를 가르키기 위해 할당)
* Dynamic 라우팅이란?
- 라우팅 테이블에서 경로의 현상태에 따라 자동 조정 but 정적 라우팅보다 안전하지 않음 &많은 대역폭을 소비(메모리, 리소스 많이 먹음)
- 라우터가 프로세스에 의해 서로 주고받아 네트워크 정보를 동기화
- 라우터-라우터 끼리 동기화해서 학습
- 모르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동작 -> 전달해야할 네트워크 입력
*라우터는 라우팅해야함.
ip라우팅 테이블 보고 어느 int로 갈지 찾아야함.
*라우터에 왜 ip, int 할당함?
- 라우터들에서 ip, sm 할당하면 네트워크로 인식 -> 라우팅 테이블로 인식 C...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