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인기 검색어

Docker

7/1 Docker 이미지 다운로드/업로드

  • -

-it

-i 옵션: 표준입력을 유지시켜주는 옵션

-t : 터미널

 

1. 그냥 실행

2. - it

3. -d (데몬형태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이렇게 3가지 형태의 이미지로 나눌 수 있다.

 

 


모든 이미지는 도커허브에서 가져옴

컨테이너의 이미지는 도커허브에 존재한다고 생각해도 무방

httpd -> 오피셜 이미지임

나머지는 개인이 만들어놓은 이미지(보안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오피셜이 아닌 이미지는 조심해야함)

docker run : 이미지가 없으면 자동으로 다운로드함

 

docker images (= docker image ls): 이미지 목록 확인 (또는 docker inspect (httpd..))

이미지를 지정할때 항상 latest 태그 사용

흰 부분이 풀네임

 

위와 같이 태그를 지정해 줄 수 있음

latest 태그는 실제로 사용하면안됨 그래서 이미지 올릴때 항상 특정 버전이나 특정 아키텍쳐의 태그를 지정해 주어야 함

 

안정성을 위해 웹서비스가 장애가 날걸 대비해서 두대 이상 세팅하는것(웹 2개와 로드밸런서 배치한 이유임, 로드밸런서는 단일 웹 이용하기위해 설정한것)

 

docker run = docker container run

docker ps = docker container ps

 

 

docker pull mysql:8  여기에서 id 가 같으면 같은 이미지란 의미( mysql 8 과 latest 가 같은 이미지인걸 알 수 있음)

같은이미지라도 태그 여러개 붙일 수 있다는 걸 알 수 있음

 

 

위 명령어로 운영체제 알 수 있음

 

 

해쉬(DIGEST)가 같으면 같은이미지란 의미

패치버전까지 나와있는걸로 다운받는걸 추천(ex) 8.0.25)

 

 

 

rmi : remove image

docker image rm = docker rmi

docker container rm = docker rm

 

이미지에 이름대신 아이디 지정할때 아이디 전체 굳이 안쓰고 두자리이상만 써도 됨(유일할 경우에만)

(docker ps -a 로 확인해서 이미지가 사용중이면 지울수없음)

 

 

config 밑

cmd

Entrypoint(중요)

 

docker save -o : images 에 있는 이미지 세이브

-o : output(이미지 출력)

 

이미지 실제 내부

sudo apt install tree

tree

이걸로도 확인가능

컨테이너 이미지는 계층으로 구성되어있음

 

 

도커 컨테이너를 구성하기 위한 핵심기술 3가지

1. 씨그룹

2. name space

3. layered filesystem

 

 

 

docker inspect httpd -> httpd 이미지 레이어 확인 가능

위 명령어로도 가능

 

 

elf : 실행파일

./hello 명령어 입력하면 실행됨

 

 

docker rmi 이미지 -f : 실행중이어도 강제 삭제 가능

save 해서 파일 업로드해보기

 

 

tar : tape archive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커 볼륨  (0) 2021.07.01
컨테이너 실행  (0) 2021.07.01
7/1 컨테이너 실행  (0) 2021.07.01
6/30 컨테이너  (0) 2021.06.30
6/28 vagrantfile 작성 및 haproxy, 스토리지 구성  (0) 2021.06.28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