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인기 검색어

Docker

7/1 컨테이너 실행

  • -

도커 컨테이너 create와 start -> docker run

 

docker create hello-world

docker ps -a

컨테이너 아이디는 컨테이너가 생성될때 할당되는것

커맨드: 이미지에 지정된 cmd

이름 지정하지 않으면 랜덤한이름 할당됨

 

docker start trusting_nightingale(랜덤한 이름)

docker ps -a | head -2

그냥 스타트하면 출력도 전송이 안됨

 

docker start ab

컨테이너 아이디도 두자리이상 지정 가능

컨테이너는 이미지에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것이 목적

결국 어플리케이션 밖에 없음.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컨테이너도 종료됨

 

docker create ubuntu

docker ps -a | grep ubuntu

docker start nice_napier

 

 

컨테이너만들때 -it 옵션 안붙이면 쉘과 상호작용 불가함. 만들때부터 붙여줘야함

 

컨트롤 c 로 나오기

 

바로 위처럼 특별한 옵션없이 생성하면 정상적으로 작동기

docker start 는 쉘이라는 형태에서는 -ai 옵션 붙여야함(??)

 

docker ps -a

삭제시 docker rm 컨테이너명

실행중이면 스탑하고 삭제

그러나 docker rm web4 -f 처럼  f옵션붙여서 삭제

docker c5 처럼 뒤에 아이디 붙여서 삭제도 가능

 

현재 스탑되어있는 컨테이너 모두 삭제할지 말지능

이 명령어가 편함

 

 

 

ubuntu1

ubuntu 이미지 이름

hostname 이미지내에서 실행할 어플리케이션 지정할수있음(커맨드)

 

docker inspect ubuntu

     cmd: bash -> 기본으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bash

docker run ubuntu ls -l

 

 

 

docker inspect httpd 로 cmd 확인시 bash 가 아닌 httpd-foreground임. 다른이유는 내가 임의로 bash로 지정해준것이라서. (bash 쉘은 -it로 지정하여 실행해야함)

 

 

 

 

 

컨테이너 이미지는 커널이 없고 어플리케이션 이외에 다른건 포함시킬필요 없는 구조. 이미지를 작게 유지하는것도 컨테이너의 목적. 그래서 쉘이나 ls 호스트네임 등 은 존재하지않음. (이미지 내부에 없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없다는 것 꼭 알아두기) 그래서 위와같이 에러가 나오는 것.

 

 

docker stats : 통계정보. no stream 붙이면 명령어 형태로 나옴. 안붙이면 실시간으로 실행됨

현재 컨테이너의 리소스 사용량 확인가능

 

 

docker top ...: 현재 컨테이너 내에 있는 프로세스를 의미. 프로세스 4개 떠있는걸 확인가능

호스트에서 보면 컨테이너 뿐만이 아닌 다른 프로세스도 확인 가능

 

 

실행된 상태에서 중지(pause) 시켜보기

stop : 프로세스 종료. 그래서 종료코드가 생김(0)

pause : 프로세스 일시중지. 그래서 종료코드 안뜨는걸 확인할 수 있음.

 

*

최대절전: 거의 모든 장비에서 전력 공급하지 않음. 메모리에 전력공급 하지 않으면 전부 절전됨. 그래서 디스크에 옮김. 다시 절전해제하면 디스크에 옮긴 파일을 다시 메모리로 이동. 리소스 유지가 안되기 때문에 다른것들에게 리소스 할당 가능

절전: 최소한의 절전만 공급(pause). 리소스를 계속 유지

disk : 보조기억장치

memory : 주기억장치 (현재 실행되는 모든 파일은 전부 메모리에 있음, 그래서 메모리에 전력 공급하지 않으면 전부 사라짐)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커 볼륨  (0) 2021.07.01
컨테이너 실행  (0) 2021.07.01
7/1 Docker 이미지 다운로드/업로드  (0) 2021.07.01
6/30 컨테이너  (0) 2021.06.30
6/28 vagrantfile 작성 및 haproxy, 스토리지 구성  (0) 2021.06.28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